본문 바로가기
  • Good at job and wiling to lead
  • Realize where we stand
  • Be tenacious to original or best
팀장

회계팀장의 핵심 업무 정리

by taxis 2025. 5. 27.
반응형

결산 및 재무보고 실무 총괄

회계팀장은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신뢰성을 책임지는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중에서도 결산 및 재무보고 업무는 매우 중요한 분야로,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결산 및 재무보고 실무 총괄

회계팀장은 월별·분기별·연말 결산을 총괄하며, 정확한 재무제표 작성과 경영진 보고를 책임지고 있습니다.

🔹 월/분기/연말 결산 총괄

  • 전표 입력, 수불 마감, 장부 검토, 잔액 조정, 계정명세서 확인, 수정 전표(JE) 입력 등의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합니다.
  • 감가상각, 충당금, 선급비용 및 미지급비용 등 주요 회계 항목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고, 이에 대한 결산조정분(AJE)을 입력합니다.
  • 부서별 마감 일정, 통장 잔액 일치 여부, 수불재고 마감 상태 등을 포함하는 결산 체크리스트를 운영하여 마감 품질을 확보합니다.

🔹 재무제표 작성 및 연결조정

  • K-IFRS 또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합니다.
  • 연결대상 종속회사가 존재할 경우, 내부거래 제거 및 연결조정분을 반영합니다.
  • 회계감사 대응을 위한 별도·연결 조정자료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 경영진 보고

  • 월간 손익보고서(PL), 재무상태표(BS), 현금흐름표(CF) 등을 작성하여 경영진에게 보고합니다.
  • 주요 변동내역 분석: 계정별 증감 요인, 매출/매입 변동 요인, 일회성 비용 발생 여부, CAPEX 집행 내역 등
  • 경영진이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주요 재무성과 지표를 시각화하거나 요약해 제공하며, 질의 대응 및 회의 자료 준비까지 함께 수행합니다.

세무 업무 실무 및 리스크 관리

회계팀장이 담당하는 세무 업무는 단순한 세금신고를 넘어, 세무 리스크 관리 및 글로벌 조세 이슈에 대한 선제적 대응까지 포함합니다. 다음은 세무 실무를 총괄하는 회계팀장이 수행하는 주요 업무입니다.

[2] 세무 업무 실무 및 리스크 관리

🔹 각종 세무신고 총괄

  • 부가가치세 업무: 매출/매입 세금계산서 전수 매칭을 통해 오류를 방지하고, 매입세액 불공제 항목을 사전에 점검합니다. 예정신고와 확정신고를 구분하고, 필요 시 조기경정신고도 검토합니다.
  • 법인세 업무: 세무조정계산서를 작성하고, 감가상각·충당금·대손·접대비·기부금 등의 손금불산입 항목을 판단합니다. 또한 투자세액공제, R&D 세액공제 등 세액공제 항목을 검토하며, 각종 명세서를 기한 내 제출합니다.
  • 원천세 업무: 급여·퇴직소득·기타소득·용역비를 정확히 구분하여 신고하며, 4대 보험 자료와의 연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지급명세서를 전자 제출하고, 연말정산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합니다.

🔹 세무 리스크 대응 및 쟁점 검토

  • 세무리스크 분석: ERP와 홈택스 간의 데이터(전자세금계산서, 지급명세서 등)를 대사하여 불일치 항목을 점검하고, 미수령 증빙과 매입세액 불공제 항목을 식별합니다.
  • 세무조사 대응: 과세자료에 대한 해명자료를 작성하고, 적격증빙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거래에 대응합니다. 차입거래 시 적정 이자율 검토 및 계약서 보완도 함께 수행합니다.
  • 면세/영세율 요건 검토: 수출 관련 영세율 적용 요건을 검토하고, 세관 신고정보와 인보이스를 매칭합니다. 외화입금 기준 충족 여부도 확인합니다.
  • 대손세액공제 검토: 회수불능 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고, 회계상 대손 인식 시점과의 일치성도 확인합니다.

🔹 해외사업 및 국제조세 관련 대응

  • 외국납부세액공제: 해외 자회사가 납부한 법인세 내역을 수집하고, 본사와의 이중과세방지협정 적용 여부를 확인합니다.
  • 현지 소득귀속 이슈: 배당, 로열티, 기술료 등 본사 귀속 여부를 검토하고, TP(이전가격) 정책과 연계성을 확인합니다.
  • 해외세법 리스크 분석: 베트남, 중국 등 현지 법인 운영 시 발생 가능한 고정사업장(PE) 이슈, 원천세율, 세무신고 체계를 검토합니다.

🔹 국제조세 및 이전가격 문서화

  • TP 문서화 자료 준비: 로컬파일, 마스터파일, 국별보고서(CbCR)를 검토하고, 법인 간 거래에 대한 정상가격 범위를 분석합니다.
  • FAR 분석: 관계회사 간 기능(Function), 위험(Risk), 자산(Asset)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며, 연간 TP 리포트를 작성합니다.
  • APA 및 사후 검토 대응: 국세청 이전가격 사전심사(APA)나 사후검토 시 필요한 대응자료를 준비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춥니다.

자금 및 현금흐름 관리

회계팀장은 회사의 유동성과 지급능력을 총괄하는 자금관리 업무를 통해 재무 건전성과 운영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다음은 자금 및 현금흐름 관리에 있어 회계팀장이 수행하는 주요 업무들입니다.

[3] 자금 및 현금흐름 관리

🔹 자금일보 작성 및 자금계획 수립

  • 일별 자금일보 작성: 당일 자금 집행 내역을 정리하고, 각 계좌의 잔고 현황을 점검하며, 입출금 흐름을 실시간으로 파악합니다.
  • 단기 자금계획 수립: 급여, 납부세금, 매입결제 등 예상되는 단기 자금지출에 대비하여 필요한 자금을 사전에 확보합니다.
  • 중기·장기 자금계획 수립: 분기 및 연간 기준의 현금흐름을 예측하며, CAPEX, 차입, 배당 등의 장기 지출 항목을 포함한 자금 수요를 계획합니다.
  • 자금 수급 차이 대응 전략: 단기 유동성 차이를 해소하기 위해 매입어음을 발행하거나 단기차입 등을 활용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수립합니다.

🔹 외환 및 수출입 자금관리

  • 수출입 자금 흐름 관리: 수출입 신고내역을 정리하고, L/C 조건 및 전신환(T/T), 선적기준 등의 인식기준에 맞추어 수익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대응합니다.
  • 외화채권·채무 관리: 환율 변동에 따라 발생하는 환평가 손익을 계산하고, 이를 결산에 반영하여 재무제표의 정확성을 확보합니다.
  • 환리스크 대응: 환율 변동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선물환 계약(Hedging)을 체결하여 환리스크를 최소화합니다.

🔹 금융기관 커뮤니케이션 및 차입관리

  • 여신 및 만기 관리: 주요 거래은행과의 여신한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차입금의 만기 일정에 따라 재조정 전략을 수립합니다.
  • 신용등급 및 금융비용 분석: 회사의 신용평가 등급을 관리하며, 이자율 등 금융비용을 분석하고, 시장금리 수준을 반영한 유리한 조건으로 차입조건을 재협상합니다.
  • 담보 및 신용장 관리: 자산 담보 제공 조건, 신용장(L/C) 발행 조건 등을 검토하며, 금융기관의 질의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유지합니다.

🔹 현금흐름 분석 및 보고

  • 현금흐름표 작성: 월별로 현금흐름표(Cash Flow Statement)를 작성하고, 전월 대비 변동 요인을 분석합니다.
  • 현금 Cycle 최적화: 수금 및 지급 패턴을 분석하여 현금 흐름의 효율성을 높이고, 현금 Cycle을 최적화합니다.
  • 경영진 보고: CFO 및 경영진을 대상으로 차입계획, 유동성 리스크 등을 포함한 자금보고서를 작성하여 주요 의사결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시스템 관리, 내부통제, 조직운영, 공시 대응

회계팀장은 단순 회계 처리뿐 아니라 ERP 시스템의 기획과 내부통제 운영, 팀원 교육 및 외부 공시까지 포괄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다음은 그에 따른 주요 실무 항목입니다.


[4] ERP 및 회계시스템 운영/개선/구축

🔹 ERP 마스터 관리

  • 계정과목 구조, 코스트센터 구조, 품목코드, 거래처 구조 등 회계의 기본 틀을 설계합니다.
  • 매입·매출 전표의 흐름을 관리하고, 생산·재고·수불 모듈과 회계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연동되도록 구성합니다.

🔹 자동화 구현

  •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세금계산서 매입등록, 통장 입출금 내역 처리 등은 자동화를 통해 효율화합니다.
  • Excel VBA 또는 RPA(Bot)를 활용해 세금신고 자료를 자동으로 가공·정리하여 업무 시간을 절감합니다.

🔹 시스템 내부통제 운영

  • 전표 승인 권한을 설정하고, 비정상 거래 발생 시 경고를 표시하는 로직을 구성합니다.
  • 또한 전표의 수정 및 삭제 이력 등 로그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회계시스템의 신뢰성을 유지합니다.

[5]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 매출, 매입, 급여 등 주요 회계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각 단계별 통제 포인트를 설정합니다.
  • 운영 문서화와 셀프테스트 체크리스트를 기반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안정적으로 운영하며,
  • 외부감사인이 요구하는 증빙(Evidence File)을 사전에 구축합니다.

🔹 재고 및 자산 실사

  • 연 1~2회 정기적으로 재고 실사 계획을 수립하고, 실사 결과에 따른 차이 발생 원인을 분석해 보고합니다.
  •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사용 상태와 감가상각 이력을 연도별로 추적 관리합니다.

[6] 회계팀 운영 및 조직관리

🔹 팀원 교육 및 업무분장

  • 신입사원에게는 전표 입력, 회계기준, 세무에 대한 교육을 진행합니다.
  • 연차나 휴가를 고려한 업무 백업 체계를 마련하여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며,
  • 주간·월간 단위의 업무 배분표를 작성해 과부하를 예방합니다.

🔹 성과관리

  • 결산 마감일 준수율, 오류 전표 건수, 세무 불일치 건수 등 팀별 KPI를 설정하여 운영합니다.
  • 성과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개선계획을 수립하며, 목표 달성 기반의 조직 관리 체계를 유지합니다.

[7] 공시업무 및 외부 IR 대응

🔹 전자공시(DART) 작성 및 관리

  • 분기, 반기, 연간 기준의 사업보고서와 재무제표 관련 공시자료를 작성합니다.
  • 감사보고서, 연결·별도 재무제표의 주석 작성 및 공시 일정을 관리하며,
  • 외부감사인 및 공시대리인과 협의하여 최종 공시본을 제출합니다.

🔹 주요사항보고 및 수시공시 대응

  • 주요 계약, 자산의 취득·처분, 투자 등 공시 사유가 발생했을 때는 이를 검토하고 공시문안을 작성합니다.
  • 이사회 및 주주총회 관련 재무자료를 제공하며, IR 및 전략기획 부서와 협업해 신속히 공시에 대응합니다.

🔹 외부 투자자 및 애널리스트 응대

  • IR 자료 내 재무정보의 정확성을 검토하고, 컨퍼런스콜이나 기업설명회에서 사전 질의 응답을 준비합니다.
  • 경영진 브리핑을 위한 재무 FAQ를 작성하고 지속적으로 최신화하여 투자자 대응 품질을 높입니다..

예산/실적관리 및 경영계획 수립

회계팀장은 단순한 수치 관리자를 넘어, 회사의 예산 편성, 실적 분석, 경영 의사결정 지원까지 아우르는 전략 파트너입니다. 아래는 예산 및 실적관리, 그리고 전략적 판단을 지원하는 주요 실무 내용입니다.


[8] 예산/실적관리 및 경영계획 수립

(경영의사결정 및 전략적 판단 지원 포함)

🔹 예산 수립 및 편성 관리

  • 부서별로 연간, 분기, 월간 단위의 예산을 편성하고 실무를 총괄합니다.
  • 전년도 실적 및 사업계획을 반영하여 CAPEX(자본적 지출)과 OPEX(운영비용)를 구분하는 기준을 수립합니다.
  • 또한 가정(Assumption)에 기반한 손익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경영층에 보고합니다.

🔹 실적 모니터링 및 차이분석

  • 매월 실적을 집계하고 예산 대비 편차(Variance)를 분석합니다.
  • 부문별 손익 분석을 통해 실적 저해 요인을 파악하고 개선 대책을 수립합니다.
  • 제품별 매출 및 원가 추이, 수익성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하며,
  • BOM(표준원가) 기준으로 제품별 원가를 분석하고 수익성 분석 리포트를 작성합니다.
  • 또한, 사업부 또는 제품단위별 BEP(손익분기점) 계산도 함께 수행합니다.

🔹 Forecast 및 경영지표 분석

  • 월별·분기별 재무 Forecast를 작성하고 변동 사항에 따라 수정합니다.
  • EBITDA, OPM 등 KPI를 기준으로 실적을 추적하고, 부서별 성과를 진단합니다.
  • 수익성 하락이 감지되면, 이에 대한 개선 Action Plan을 도출하고 실행을 관리합니다.
  • 가동률, 인건비 비중 등 생산성 관련 지표도 포함하여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 예산통제 및 의사결정 지원, 경영층 보고

  • 예산 집행률을 모니터링하고, 예산 초과 집행 건에 대해서는 사전 승인 프로세스를 운영합니다.
  • 사업부의 예산 요청안에 대해 예산 내 타당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경영층에 보고합니다.
  • 이사회나 임원회의용 요약 리포트를 작성하며, 다양한 전략 시나리오를 제공합니다.
  • 재무 리스크 요인을 정리하고, 현금흐름 시나리오별 대응 전략도 제시합니다.
  • 신규 투자안에 대해서는 NPV(순현재가치), IRR(내부수익률)을 계산하여 경제성을 검토하고,
  • 감가상각이나 투자세액공제 등 세무상 이슈도 함께 분석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