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의 소양과 업무철학 – 일의 의미, 조직 속 역할, 삶의 보람을 되새기다
직장생활은 단순한 생계수단을 넘어, 인생의 보람과 성취감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아래의 글은 ‘조직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일에 임해야 할지’, 그리고 ‘우리가 일 속에서 무엇을 얻고, 어떻게 성장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합니다.
11. 이익은 기업의 원동력
미국의 경영관리사 넷펠은 “이익은 기업 발전의 추진력이자 원동력이다. 이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은 흰개미에게 갉아먹히듯 소멸하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기업은 미래의 불확실성을 대비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생산적 이익을 창출해야 합니다.
🔹 대체 이익: 타인의 손실에서 오는 이익 (예: 인플레이션, 증권 등락)
🔹 생산적 이익: 신제품 개발, 시장 개척, 생산성 향상 등 사회적 부를 창출하는 이익
진정한 기업의 성장은 오직 생산적 이익에서 비롯됩니다.
12. 이익의 원천과 원가요소
기업의 이익은 단지 자본가나 소유자의 몫만이 아닙니다.
절반은 세금으로, 일부는 주주배당과 직원복지, 사회 기여에 쓰이며, 또 일부는 미래 투자로 유보됩니다.
즉, 이익은 사회적 책임을 수행한 결과의 보상입니다.
이익의 공식은 간단합니다:
💰 수입 – 지출 = 이익
결국 이익을 창출하려면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여야 하며, 이때 제품/서비스의 원가 요소에 대한 이해가 매우 중요합니다.
13. 조직활동의 목적
회사라는 조직은 다음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활동합니다.
- 목표 추구 – 목표 없는 행동은 없습니다. 부서의 목표가 뚜렷해야 조직도 움직입니다.
- 분담된 총합활동 – 조직은 ‘일과 사람’의 편성체입니다. 역할 분담과 협력이 핵심입니다.
- 삶의 보람의 터전 – 우리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직장에서 보냅니다. 그 시간이 가치 있어야 합니다.
14. 업무(일)의 위임
모든 업무의 최종 책임자는 사장이지만, 모든 일을 직접 수행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위임은 조직의 기본 운영 방식입니다.
- 사장 → 부장 → 과장 → 대리 → 사원
이처럼 일은 위로부터 아래로 연결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개개인의 역할은 조직 속에서 분명하게 정해져 있으며, 이를 성실히 수행함으로써 조직의 목적은 달성됩니다.
15. 일의 주인 되기
회사 일은 위에서 아래로 위임되며, 좌우로도 긴밀하게 연결된 협업의 결과물입니다.
하지만 조직 속에서 소극적으로 피동적인 태도를 가져선 안 됩니다.
우리는 조직의 일원으로서, 자신의 업무에 주인의식을 갖고 자발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남이 시켜서 억지로 하는 일이 아니라, **“내 일이다”**라는 마음으로 일에 임할 때 진정한 성장과 보람을 느낄 수 있습니다.
16. 조직인으로서의 역할
조직 구성원은 대외적으로도, 대내적으로도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합니다.
🎯 대외적 역할
- 회사 대표자로서 외부에 이미지와 신뢰를 전달
- 회사 이미지 형성자로서 태도와 언행에서 책임감 있게 행동
- 회사 신용 창출자로서 일상에서 신뢰를 쌓음
🏢 대내적 역할
- 자신에게 맡겨진 직무 성과 달성
- 상사를 적극 보좌하여 업무 성과 극대화
- 동료와 협력하며 팀워크 실현
- 후배에게 지도와 멘토링
- 좋은 인간관계 형성으로 긍정적 조직문화 조성
17. 일의 의의
우리는 왜 일할까요? 단순히 생계 때문일 수도 있지만, 일은 그 이상입니다.
- 생활의 안정: 보수로 생활을 유지
- 인간 성장: 경험과 학습을 통한 성숙
- 기업 기여: 회사 발전에 일조
- 사회 기여: 만든 제품과 서비스로 사회에 이바지
- 인생의 즐거움: 일을 통해 삶의 의미와 기쁨을 얻음
일을 단지 의무로만 여기지 말고, 인생을 풍요롭게 하는 기회로 생각해보세요.
18. 보람을 가져다 주는 조건
보람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도전할 수 있다 | 수입이 안정적이다 |
인정받고 칭찬받는다 | 취미를 즐길 수 있다 |
장래성이 있다 |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다 |
기업 운영에 참여한다 | 가족과 화목하게 지낸다 |
조직 분위기가 좋다 | 편안한 여가를 즐긴다 |
이 중 어떤 보람이 가장 중요한지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그러나 어떤 보람이든 스스로 찾고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19. 자기 향상의 욕구
일이나 취미를 하며 잘하고 싶다, 성장하고 싶다는 생각이 든 적 있으신가요?
그 욕구는 인간이 가진 가장 본질적인 본성 중 하나입니다.
자기계발, 기술 숙련, 지식 습득, 책임과 성취 –
모두가 자기 향상을 위한 과정이며, 그 속에서 보람과 기쁨을 찾을 수 있습니다.
20. 팔팔한 은어처럼 살아가기
“은어는 맑은 물을 좋아하고, 격류를 헤엄치는 걸 즐긴다.”
고요하고 안일한 곳보다는, 도전과 긴장, 변화의 흐름 속에서 진정한 성장이 일어납니다.
삶도, 회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어려움 속에서도 심장이 뛸 수 있는 곳,
그런 일터와 환경 속에서 우리는 진짜 살아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오늘도 팔팔한 은어처럼, 생동감 넘치는 삶과 일을 향해 나아가 보세요.
'경영 > 인사노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에 대한 태도, 책임감, 그리고 성장 (0) | 2025.05.13 |
---|---|
직장인의 소양과 태도, 그리고 인간적인 성장 이야기 (0) | 2025.05.13 |
일 잘하는 직장인의 기본기 (2) | 2025.05.13 |
승진이 아닌 ‘진화’를 선택해야 할 때 (3) | 2025.05.12 |
성과급(인센티브)의 임금 해당 여부 (2) | 2021.10.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