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Good at job and wiling to lead
  • Realize where we stand
  • Be tenacious to original or best
팀장

제조원가 배부 및 원가관리

by taxis 2025. 5. 27.
반응형

📌 제조원가 배부 및 원가관리

제품의 제조원가를 정확히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배부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마스터 데이터 정비부터 원가 기준 설계, 집계 및 분석, 보고와 사후관리까지 총망라된 활동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그 과정을 50개의 실무 단위로 세분화한 내용입니다.


🔹 기초 데이터 정비 (Master Data Preparation)

• BOM(Bill of Materials) 최신화 및 부재료 포함 여부 검토
• 공정순서(Routing) 및 작업시간(Time Standard) 업데이트
• 제품코드, 공정코드, 설비코드 마스터 정리
• 원자재 및 부재료 단가 테이블 입력 및 검토
• 고정자산(설비)의 감가상각 정보 반영 여부 확인
• 생산일지, 작업지시서, 실적데이터 수집방식 점검
• 공정별 설비 사용시간 기준 수립
• 인건비 배부를 위한 작업자 투입시간 기준 정리
• 직접/간접노무비 분류 기준 재검토
• 간접비 배부 기준(Basis of Allocation) 확정 (예: 면적, 인원수, 시간 등)


🔹 원가 배부 기준 설계 (Cost Allocation Structure)

• 원재료 및 부재료 소비 방식(FIFO, LIFO, 이동평균 등) 확정
• 제조간접비 배부기준 설계 (전력비, 감가상각, 수선비 등)
• 공정별/제품별 간접비 배부 로직 수립
• 외주가공비 및 용역비 배부 체계 수립
• 복수공정 병행 시 원가 Trace 방법 정의
• 보조부문 간접비의 주공정 배부체계 설계
• 혼류생산 시 공정간 공유자원의 배부 방식 설정
• 설비가동률 기준 가변/고정비 구분 기준 적용
• 제품개발, 시험생산 비용의 원가배부 예외 기준 정의
• ERP상 원가배부 기준코드(배부코드) 설정


🔹 제조원가 계산 및 집계 (Costing & Accumulation)

• 월별 생산량 및 투입 원재료 실적 집계
• 생산량 기준으로 배부된 제조간접비 집계
• 공정별 단가 계산 및 누적공정원가 정리
• 완성품 단가 산정 (직접재료비 + 직접노무비 + 제조간접비)
• 재공품(WIP) 기말재고 평가 및 차기 이월 설정
• 반제품, 완제품 단가 비교 및 수익성 점검
• 공정손실(스크랩, 불량 등) 비용 포함 여부 판단
• 생산 외주(가공) 품목에 대한 외주비 배부 정리
• 표준원가(Standard Cost)와 실제원가 비교
• 생산계획 대비 실적편차(Variance) 분석 데이터 확보


🔹 원가분석 및 손익진단 (Cost Analysis & Profitability)

• 제품별, 모델별 단위당 제조원가 분석
• 원가 중심회계(Cost Center Accounting) 손익 비교
• 제품별 Contribution Margin 계산
• 고정비/변동비 분석 및 손익분기점(BEP) 계산
• 계절성 제품 생산 시 단가 변화 분석
• 거래처별 납품단가 대비 손익 분석
• 생산공정 병목 구간 원가 집중 현황 분석
• 재작업/재공품에 대한 재처리 원가 분석
• 제조비 절감 시뮬레이션 분석 (RPA, 공정 자동화 등)
• ERP 및 Excel 기반 원가 시뮬레이션 보고서 작성


🔹 보고 및 사후관리 (Reporting & Follow-up)

• 월간 제조원가명세서 작성
• 경영층 대상 손익분석 리포트 작성
• 원가절감 계획 실행 점검 및 관리
• 표준원가/실제원가 차이 보고서 작성 및 원인 분석
• 부서별 KPI 기준으로 원가 성과 지표 설정
• 원가 배부 기준 변경 시 이사회 보고 및 승인 진행
• 외부감사/내부감사 대상 원가배부 설명자료 작성
• 공장장/생산팀과의 원가정산 회의 운영
• 원가관리 내부통제(ICFR) 설계 및 운영현황 보고
• 차기년도 원가계획 수립 및 예산 연동표 작성

반응형

댓글